겸손한 프로그래머: 소프트웨어 위기와 프로그래밍의 미래에 대한 성찰

2025-06-17

이 에세이는 1972년 Edsger W. Dijkstra의 유명한 강연을 기록한 것으로, 프로그래밍의 초기와 심화되는 소프트웨어 위기를 탐구합니다. Dijkstra는 프로그래밍이 직업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초기 상황과 컴퓨터 성능의 비약적인 향상으로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소프트웨어 위기로 이어진 경위를 설명합니다. 그는 해결책은 프로그래밍 방법론의 패러다임 전환에 있으며, “지적으로 관리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프로그램의 정확성 증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지나치게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경고를 발합니다. 개선된 언어, 더욱 구조화된 프로그래밍 접근 방식, 그리고 정확성에 대한 초점이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개발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더 보기

자연어 프로그래밍의 어리석음

2025-04-03

이 글은 자연어 프로그래밍이라는 개념을 비판합니다. 저자는 자연어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것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을 단순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기계의 복잡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감지할 수 없는 오류를 더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역사적 경험에 따르면 형식 언어(수학적 표기법 등)의 정확성과 엄격성이 효율적인 정보 처리의 핵심임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자연어의 모호성과 애매성은 컴퓨터 과학의 발전을 저해할 것입니다. 저자는 자연어 프로그래밍의 편리성을 추구하기보다는 형식 언어가 제공하는 정확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것이 컴퓨터 과학 발전에 있어서 올바른 길이라고 주장합니다.

더 보기
개발

배열 인덱스는 왜 0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2025-03-21

이 에세이는 컴퓨터 과학에서 배열 인덱스가 1이 아닌 0부터 시작해야 하는 이유를 논증합니다. 수학적 추론과 프로그래밍 언어의 예시를 통해 저자는 0 기반 인덱싱의 우월성을 보여줍니다. 0 기반 인덱싱은 수학적으로 더 일관성이 있으며, 모호한 경계 조건을 피하고, 더욱 깔끔하고 효율적인 코드로 이어집니다. 이 글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인덱스 선택에 대한 역사적 불일치와 그 결과로 발생하는 불편함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더 보기
개발 인덱싱 배열

컴퓨터 과학의 본질: 우아함 대 복잡성

2024-12-24

에드즈거 다이크스트라의 이 에세이는 컴퓨터 과학의 본질을 탐구합니다. 다이크스트라는 컴퓨터 과학은 수학의 고도로 형식화된 분야가 되어야 하며, 사실적 지식보다는 방법론을 중시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메워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현재 학계에서 복잡성을 추구하고 그 결과 단순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간과하는 것을 비판하며, 컴퓨터 과학자들에게 우아한 해결책을 추구하고 그 과정을 즐기도록 촉구합니다.

더 보기